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벤처 필란트로피 리포트

자선 자본의 역할을 고민하다

2022 AVPN

2022년 08월 05일
루트임팩트 최근형 임팩트 애널리스트

아시아 최대 규모의 임팩트 투자자들과 사회혁신기관들의 네트워크인 AVPN(아시아벤처필란트로피네트워크)은  매년 글로벌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번 AVPN은 팬데믹 이후 첫 오프라인 행사로 6월 21일부터 24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되었는데요,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사회혁신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올해로 10년을 맞이한 AVPN에 참석한 임팩트 필란트로피팀이 두 편에 나누어 후기를 전합니다.


‘자선 자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저는 자연재해나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생존을 위한 긴급 구호를 지원하거나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 계층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 고질적인 사회 환경 문제의 원인을 파고드는 연구나 정책 제안을 후원하는 것과 같이 자선 자본이 우리 사회에서 오랫동안 맡아온 역할이 먼저 떠오릅니다. AVPN 글로벌 컨퍼런스는 ‘벤처’ 자선을 다루는만큼, 이와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자선 자본이 나아가고 있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인상 깊었던 내용을 정리해 소개합니다.

임팩트 창출의 마중물, 자선 자본

‘Leveraging Catalytic Capital: The Role of Philanthropy in Innovative Finance’(촉매 자본 활용: 혁신적 금융에서 자선의 역할) 세션은 ‘촉매 자본’으로서의 자선의 역할을 설명합니다. 촉매 자본은 주류가 주목하지 않아 발생한 간극을 채움으로써 임팩트를 창출하거나 더 많은 자본의 유입을 이끌어내는 성격의 자본을 말하는데요, 이를 위해 비교적 높은 리스크와 낮은 이익을 감수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촉매 자본의 확산을 목적으로 시작된 투자 자본 Catalytic Capital Consortium의 파트너 FSG는 이러한 자본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세분화하여 설명합니다.

첫번째로 아직 검증되지 않은 초기 단계의 기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Seeding’ 입니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의 민간부문 투자를 늘리기 위한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 Convergence의 ‘Design Funding’ 같은 것이죠. Design Funding은 불확실성 탓에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던 32개의 ‘초기’ 솔루션이 아이디어를 검증할 수 있도록 위험을 감수하고 8.8백만 달러를 제공했다고 해요.

두번째로 성장을 위해 필요한 대규모 상업 자본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Scaling’인데요, 사회 혁신 투자 자본 SIIF가 흡연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고 건강보험의 재정 개선을 추구하기 위해 오사카의 한 도시와 함께 실행한 금연 사업이 그 예시입니다. SIIF가 이 사업의 높은 위험과 낮은 이익을 감수하는 가장 후순위 수익자가 됨으로써 대형 금융사와 생명보험 회사들의 동참을 이끌어내며 사업의 규모를 ‘확대’할 수 있었죠.

마지막으로 상업적으로 지속가능성이 떨어지는 기업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Sustaining’이 있습니다. 소규모 농업 기업 전문 액셀러레이터인 Root Capital이 대표적인 사례죠. Root Capital은 콩고, 인도네시아, 아이티 등 국가의 외진 농촌 지역의 소규모 농업 회사에 오랜 기간 동안 저리의 대출을 제공함으로써 농민이 소득을 창출할 수 있게 합니다. 기존 금융사로부터 대출을 받기 어렵거나 높은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던 회사가 사업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임팩트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것이죠. 

촉매 자본은 자금을 제공받은 특정한 기업의 임팩트를 이끌어내는 데 그치지 않고, 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주류화하는 데까지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이낸스’(Microfinance, 사회적 취약 계층에게 소액대출, 보험, 예금/송금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의 초기 개척자인 그라민 은행은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는 모델을 찾는 데까지 무려 16년 동안 자선 자본의 보조가 필요했다고 해요. 그 결실로, 마이크로파이낸스는 상업성이 증명된 모델이 되었습니다. 인도의 마이크로파이낸스 기관인 SKS가 증권 시장에 상장을 하기도 했죠.

Leveraging Catalytic Capital 세션의 사회자 Gaurav Gupta가 발언하고 있다. (출처: AVPN)

이처럼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다가도, 희소한 자원인 자선 자본이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의 위험을 대신 부담해주는 것에 낭비되는 것이 아닐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자선 자본은 항상 두 가지를 치열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먼저, 최소한의 양허성(minimum concessionality)입니다. ‘양허성’이란 이자율, 거치 기간, 만기 등 자금 제공 조건이 시장과 비교하여 수령자에게 호의적인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를 최소화한다는 것은, 자선 자본이 촉매로 작용하기 위해 조건을 양보하더라도 불필요한 손해까지 감수하지는 않아야 한다는 것이죠.

다른 하나는 추가성(additionality)입니다. 자선 자본을 투입하기 때문에 다른 자본 또는 임팩트가 반드시 ‘추가’되어야 합니다.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사업에 굳이 자선 자본을 투입한다면, 민간의 투자 기회를 빼앗거나 낭비하는 게 되겠죠. 이 두 가지를 확보할 때, 자선 자본은 임팩트 창출의 마중물로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소외된 성장 단계의 기업을 위한 혁신적 금융

비슷한 맥락에서, 자선 자본을 비롯한 임팩트 지향 자본은 혁신적인 금융 상품과 결합하여 시장의 외면을 받는 성장 단계에 놓인 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New Models of Innovative Finance for the Missing Middle’(소외된 성장 단계의 임팩트 지향 조직을 위한 혁신적 금융의 새로운 모델) 세션에 패널로 참여한 ​​ ​​필리핀 지역 임팩트 인큐베이터 Villgro Philippines에 따르면, 지역마다 편차가 있겠으나, 동남아시아의 경우 임팩트 지향 조직이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을 출시한 이후부터 성장기에 진입하기 직전까지, $20,000부터 $250,000의 구간이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적합한 규모의 투자를 받지 못해 10개의 서로 다른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도 있다고 해요. 이들이 성공적으로 이 구간을 지나 본격적으로 임팩트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이 되려면 이 간극을 누군가 채워주어야 하고, 이 때 새로운 금융 상품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기 투자 전문 벤처캐피탈 Emerging Market Entrepreneurs가 소개한 SAFE(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조건부지분인수계약)는 자금을 제공하는 시점이 아닌 그 다음 투자 시점에 피투자사의 가치를 산정하는데요, 주식을 인수하는 초기 기업의 불확실한 기업 가치를 산정하는 데에 힘을 쏟지 않고 빠르게, 적시에, 적정한 규모의 자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AFE 투자자가 주식을 인수할 때에는 미리 정한 할인(Valuation Discount)을 적용하는데, 기업이 사전에 합의한 임팩트 성과를 달성했을 경우 이 할인 폭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기업에게 임팩트 지향성을 유지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혁신적 금융은 최종 결과물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며, 부족한 곳을 채움으로써 생태계를 조성하는 수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혁신적일지라도 항상 기업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지역적 맥락을 고려해 적용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의도적으로 더 협력해야 합니다. 그래야 ‘missing middle’을 정말로 채울 수 있을테니까요.

임팩트 잠재력을 실현하는 신뢰 기반 후원

자선 자본의 역할이나 자금을 제공하는 방식이 아무리 혁신적일지라도, 이것이 실제로 임팩트로 이어지는 데에는 그 자금을 활용해 현장에서 사회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단체들의 역할이 정말 중요합니다. 그러나, 자금 제공자와 단체의 관계가 항상 편하지는 않습니다. 제공자는 단체가 기부금을 허투루 쓰지 않도록 제한, 감시하고, 단체는 제공자가 부여한 의무를 이행하며 약속한 예산을 소진하기 바쁩니다. 두 주체 모두 사회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본질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임팩트 잠재력의 실현을 가로막습니다.

 ‘Enabling Trust-Based Giving: Building the Movement for the Asia-Pacific Region’(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신뢰 기반 후원의 활성화) 세션은 둘 사이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신뢰 기반 후원(Trust-based Funding)’이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신뢰 기반 후원은 말 그대로 자금 제공자와 단체가 서로 온전히 신뢰하는 관계를 바탕으로 한 후원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요, 지원 과정은 간소화되고, 계획을 실행하고 수정하는 데에 자율성이 보장되며, 보고는 지출 내역과 증빙이 아닌 임팩트를 중심으로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패널 토론에 참여한 자금 제공자인 Vitol Foundation은 단체의 부담을 덜기 위해 한 장의 지원서만 받거나, 아예 다른 재단에 제출했던 지원서를 그대로 받기도 한다고 합니다. 신뢰를 쌓는 데에는 수십 장의 지원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솔직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Enabling Trust-Based Giving 세션의 사회자 Jasmine Chew가 패널 토론에 앞서 진행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출처: AVPN)

신뢰 기반 후원의 핵심은, 제약 없는 후원금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후원은 사용할 수 있는 용도나 계획의 중도 변경에 대한 조건이 엄격한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신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그 제한을 거둘 수 있는 것이죠.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더 많은 임팩트를 창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먼저, 단체가 조직의 성장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여전히 많은 자금 제공자들이 간접비를 낮출수록 더 많은 돈이 수혜자에게 전달되고 이것이 임팩트를 더 많이 내는 방법이라 생각하지만, 이것이 항상 참인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인재와 역량 개발, 업무 생산성, 기술과 같은 조직적 역량에 투자할 수 있을 때, 또 시행착오를 겪을 여지가 있을 때 단체가 성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더 큰 임팩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문제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제구조위원회 IRC(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는 AVPN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약 없는 자금 덕분에 코로나로 인해 급박하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빠르게 판단하여 계획을 수정하고, 실행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제약이 엄격한 후원금이었다면, 하루하루 코로나 검사 비용이 치솟는 상황에도 컴퓨터 앞에 앉아 자금의 용도와 집행 시점 변경을 설득하기 위한 문서를 작성하고 있어야 했을 것이라면서요. 이처럼 단체가 후원금에 설정된 제약이 아니라 문제 상황의 제약을 해결하는 데에 집중할 때, 더 임팩트 있는 후원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기울어진 힘의 균형을 회복해야 합니다. 자금 제공자와 단체의 관계를 ‘돈을 주는 곳’과 ‘그 돈을 받아 쓰는 곳’으로 본다면 힘은 제공자에게 쏠릴 수밖에 없습니다. 관점을 바꿔 보면, 자금 제공자에게 단체에게 없는 재무적 자본이 있는 것처럼, 단체에게는 제공자에게 없는 이해당사자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와 접근성, 그리고 이들의 문제를 실제로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있습니다. 두 주체가 일방적 관계에서 대등한 협력적 관계로 나아갈 때, 비로소 신뢰 기반 후원이 가능하고, 임팩트 잠재력을 온전히 실현할 수 있습니다.

사회 환경 문제 해결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금, ‘임팩트 필란트로피’

이번 AVPN을 통해 아시아의 자선 자본은 새로운 역할, 수단, 관계를 지속적으로 시도하며 중대하고 시급한 사회 환경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요? 국내 임팩트 생태계는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사회적 기업과 소셜 벤처가 등장하고 있고, 연간 임팩트 투자 금액은 업계 추산 약 5천억원 이상의 규모로 증가했습니다. 재무적 자본의 유입이 빠르게 성장하는만큼 이들이 정말 임팩트를 창출할 수 있는 곳으로 연결되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래서 루트임팩트는 사회 환경 문제 해결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금, ‘임팩트 필란트로피’ 사업을 시작합니다. 임팩트를 중시하는 기부자와 함께 기금을 조성하고, 사회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와 잠재력이 있는 임팩트 지향 조직을 선발, 신뢰를 기반으로 유연한 형태의 자금을 제공하며,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자본을 연결합니다.

그 첫 출발로, 김강석 크래프톤 공동창업자의 출연으로 36억원 규모의 ‘임팩트 필란트로피 제1호 기금’을 조성했습니다. 이 기금을 활용해 임팩트 자본이 늘어남에도 주목받지 못하고 있던 비영리 단체 등 임팩트 지향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고, 이들이 임팩트 성과를 더 잘 측정, 소통하도록 돕고자 해요. 그래서, 선한 의도를 가진 조직들이 임팩트 잠재력을 최대로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앞으로 루트임팩트와 함께 중요한 사회 환경 문제를 해결해 나갈 팀들에게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1편 ‘자선 자본과 임팩트를 연결하다’ 보러가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