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아동, 가족 리서치

‘4인’ 가족의 탄생

매거진 루트임팩트

2020년 05월 21일
Root Impact

‘4인’ 가족의 탄생 ‍‍‍

 이번 리서치는 이 내용을 다룹니다
1. 가족 정책을 만드는 3S: 견고성 (Strength), 안정성 (Stability), 구조 (Structure)
2. 법적 혼인 관계와 안정감, 그러나 더 중요한 가족계획, 교육, 소득수준의 해결
3. 미국의 다양한 가족형태 
4. 미국인들은 가족을 사랑하지만, 미국 정책은 아니다

저희 팀엔 유독 부모님께서 선생님인 친구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초등학교의 이야기를 사담으로 나눌 기회가 꽤 있는데요. 이번에 들은 이야기는 꽤 슬펐습니다. 어머님의 학교에 캐나다에서 전학 온 아이가 있대요. 아이의 형이 캐나다에서 목숨을 잃어 한국으로 역이민을 온 경우이고요. 그 부모가 선생님에게 털어놓은 이야기가 참 기가 찼는데요. 같은 반 아이들이 그 이야기를 알고 위로나 공감의 말을 하기보다 오히려 놀렸다고 합니다. 안타까웠습니다. 흔히 ‘4인 가족 기준’이라고 하는 것이 실은 얼마나 희소한 경우인지요. 부모, 조부모, 그리고 형제자매의 ‘존재’가 ‘기준’이 되고 그 기준에 방점을 두어 수립한 정책이 얼마나 치우쳐 있는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함께 생각해 보고자 5월 가족의 달 임팩트리서치를 마련했습니다.

1. 가족 정책을 만드는 3S: 견고성(Strength), 안정성(Stability), 구조(Structure)

CAP(Center for American Progress) 보고서의 저자 숀 프램스태드Shawn Fremstad 와 멜리사 보티치Melissa Boteach는 3가지 S로 구성된 가족 정책의 프레임 워크를 제안합니다. : 가족 구조, 가족 안정성 그리고 가족 견고성 (Family Structure, Family Stability and Family Strength)

3가지 S로 구성된 가족 정책의 프레임 워크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가족 견고성(Family Strength)’은 동거 여부와 상관없이 아이와 부모 혹은 주 양육자와 관계의 질을, ‘가족 안정성 (Family Stability)’은 시간에 따른 견고성 요인 변화와 구조 전환의 정도를, 마지막으로 ‘가족 구조(Family Structure)’는 한 시점에 가족 단위의 구성을 의미합니다. 

CAP의 보고서에 따르면 
1) 안정성은 구조만큼이나 중요합니다. 
불안정성은 아동의 인지 능력과 건강에 가족 구조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또한, 가족 불안정성은 가정의 불화와도 연결이 됩니다. 가족 구성의 변화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의 일부는 불화와 불안정성에 기인합니다. 

2) 그러나 구조와 안정성은 연관이 있습니다. 
이자벨 소힐Isabel Sawhill은 최근 그녀의 책 ‘Unbound’에서 비혼 커플 중 절반 이상이 아이가 유치원에 가기 전에 헤어진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물론 약 20%의 결혼한 부부도 그들의 아이가 5살이 되기 전에 헤어지고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안정성입니다. 구조는 그 안정성을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가족 견고성 : 중요하지만 규정하기 힘듦
숀과 멜리사는 가족 견고성을 헌신, 갈등 수준, 감정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의 결합으로 정의했습니다. 이것은 많은 수보다는 양질의 부모나 배우자가 몇명인지를 말합니다. 그래서 가족 견고성은 평가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연구자의 가치 판단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4) 가족 : 애매한 개념 
‘가족’의 개념은 일련의 관계, 헌신의 형태 그리고 행동의 유형뿐 아니라 광범위한 제도적 프레임 워크를 포괄합니다. 가족이란 시간이 흐르면서 정의되는 개념이고, 또 그렇게 만들어진 가족은 아이들을 위해서 잘 작동해야 하니까요.

2. 법적 혼인 관계와 안정감, 그러나 더 중요한 가족계획, 교육, 소득수준의 해결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가족 안정감은 어린 시절 자녀에게 중요합니다.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안정적인 가정에서 자란 아이가 더 건강하고, 잘 교육받으며 가난하지 않게 살 확률이 가족 구조의 변형을 자주 겪은 아이보다 높다고 합니다.

결혼한 부모와 동거하는 부모 사이 안정성 격차

브래드 윌콕스Brad Wilcox 와 로리 드로즈Laurie DeRose의 최근 연구는 법적으로 결혼한 부모와 동거(법적으로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살며 아이를 키우는 경우)하는 부모 사이의 안정성 격차는 모든 나라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전체적인 안정 수준은 상당히 다르더라도) 결혼한 부모와 동거하는 부모 사이의 ‘안정적 격차’ 뒤에 무엇이 숨어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혼 상태와 별개로 이들의 차이를 다른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유용합니다.  리차드 V. 리브스 Richard V. Reeves 와 엘리노어 크라우스 Eleanor Krause는 가족 계획과 교육 수준, 소득 등 3가지 요인을 살펴보고 동거하는 부모와 결혼한 부모 간의 차이를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1) 가족계획 
구조Guzo와 헤이퍼드Hayford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통제하면, 계획되지 않거나 동의하지 않은 출산이 계획된 출산보다 상대적으로 가족 해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계획되지 않은 출산을 한 부모는 계획한 출산을 한 부모들에 비해 갈등, 관계 행복도 저하, 우울증 발생률 등이 높다는 보고가 나왔습니다. 의도치 않게 부모가 되었다는 사실은 자기 효능감과 예지력 부족뿐 아니라 의견 불일치, 부족한 의사소통 능력 등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교육
결혼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교육을 받고 더 높은 소득을 가진 미국인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오래 지속되어 왔습니다. 결혼한 부모는 동거하는 부모보다 학사 또는 석박사 학위 소지 가능성이 4배 이상 높습니다. 동거하는 부모 3명 중 2명은 고등학교 졸업장 이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후자는 전자에 비해 훨씬 젊은 경향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양 그룹간 격차는 두드러지고, 교육이 가족의 안정성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변수이기 때문에 안정성 격차와 관련이 있습니다. 

3) 소득수준
결혼한 부모들이 더 높은 교육을 받았고 더 나이가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그들이 더 높은 소득을 가졌다는 것은 예측 가능합니다. 결혼한 아버지들은 1년에 5만 5천 달러를 버는 반면, 동거하는 아버지는 2만 9천 달러를 법니다. 가족 소득이 높을수록 경제적 스트레스가 감소하여 가정 안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제시카 하디Jessica Hardie와 에이미 루카스Amy Lucas는 “경제적 요인은 결혼과 동거한 커플 모두에게 갈등의 중요한 예측 변수”라고 지적했습니다. 

동거 부모에 비해 법적으로 결혼한 부모의 안정성이 더 높은 것은 앞에서 기술된 광범위한 차이에서 올 가능성이 높고 또 결혼이라는 제도와 연관성이 높은 편이지만, 결혼 상태 자체와는 거의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본 데이터를 보고 가정의 안정을 목적으로 동거 커플에게 결혼을 법적으로 독려하는 것은 올바른 해석이 아닙니다. 대신, 여기서 밝혀진 가족 안정성의 요소인 더 나은 가족 계획, 더 많은 교육, 그리고 더 높은 소득을 위한 정책을 만들어야 합니다.

3. 미국의 다양한 가족 형태

지난 50년간 미국의 가족 구조는 크게 바뀌어 왔습니다. 약 6가지 유형의 가족 구조로 식별해 볼 수 있는데요.  

1) 핵가족
핵가족은 가족 구조의 전통적인 유형입니다. 이 가족형은 부모와 자녀 두 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한부모 가족
한부모가족은 한부모가 혼자서 한 명 이상의 자녀를 양육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이 가족에는 자녀가 있는 싱글이 포함됩니다. 

3) 확대 가족
확대 가족 구조는 혈연이나 결혼에 의해 관계가 맺어진 두 명 이상의 성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가족은 많은 친척들이 함께 살면서 아이들을 키우고 가사 노동을 잘 준수하는 것과 같은 공동의 목표를 갖고 살아갑니다. 확대 가족은 사촌, 이모 또는 삼촌, 그리고 함께 사는 조부모를 포함합니다.

4) 무자녀 가족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족을 아이를 포함한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아이를 가질 수 없거나 선택하지 않는 커플들이 있습니다. 아이가 없는 가족은 함께 살고 일하는 두 명의 동반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재혼 가족
모든 결혼의 절반 이상이 이혼으로 끝나며, 이 개인들 중 많은 수가 재혼을 선택합니다. 이것은 두 개의 분리된 가족이 하나의 새로운 단위로 합쳐지는 단계 또는 혼합된 가족을 만듭니다. 그것은 새로운 남편, 아내 또는 배우자와 이전의 결혼 혹은 관계에서 온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6) 조부모 가족
오늘날 많은 조부모님들은 다양한 이유로 손자들을 기르고 있습니다. 14명 중 1명은 조부모에 의해 양육되며, 부모는 아이의 삶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부모의 죽음, 중독, 유기 또는 부적절한 부모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4. 미국인들은 가족을 사랑하지만, 미국 정책은 아니다. 

정치인들은 가족에 대한 사랑을 이야기합니다. “Families”는 도널드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이  선거연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입니다. 그만큼 가치있고 강력한 단어이지요. 그러나 미국의 정책은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이해하고 지지한다고 보기에는 일관성이 없고 약합니다. 특히 현 미국 정부가 이민자 가족을 대하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의 법학 및 사회학 교수인 도로시 로버트Dorothy Roberts는 “우리가 가족을 지지하고, 가족 친화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기본적인 모순이 있습니다. 특히 우리가 발전된 고소득 민주주의 국가 중에서 최악의 가족 정책을 가지고 있을 때 그렇죠.” 라고 합니다. 

가족은 갑작스럽게 사법재판과 아동복지시스템에서 분리되곤 합니다. 부모들은 유급 가족 휴가나 육아 보조금 등의 연방 정책 없이 아이들을 키우기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알게 모르게, 부족한 가족 부양 정책과 프로그램이 가족 자체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어떤 가족은 (앞에서 얘기한 것처럼 안정성을 위해) 부모가 결혼하게 되면 근로소득세액공제나 메디케이드(Medicaid – 소득이 빈곤선의 65% 이하인 극빈층에게 연방 정부와 주정부가 공동으로 의료비 전액을 지원하는 제도)와 같은 근로빈곤층을 돕는 연방정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정치학자인 스티븐 그린Steven Greene과 로렐 엘더Laurel Elder의 연구에 따르면 1970년대 이전에는 정치인들이 가족에 대해 거의 연설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1992년 무렵 보수주의자들이 “가족 가치”를 비판의 무기와 모토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린과 엘더는 미국 가정 자체가 더 많은 어머니들이 일을 하고, 더 많은 미혼부와 동성 부모들이 생기고, 더 육아 부담이 증가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면서 가족의 개념 자체가 정치화되었다고 주장합니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정치학자 스티븐 그린은 “가족과 양육은 강력한 정치적 상징이다. 민주당, 공화당 할 것 없이 정치인들은 정책 자체보다 ‘가족과 아이들’이라는 언어로 포장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민자 가족 분리 정책조차 이민자들이 당신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고 여기도록 하면, 친가족 정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보수주의자들은 전통적 핵가족을 중시하면서도 이민 가족의 분리를 지지한다고 또 진보주의자들은 아이들이 부모로부터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도 이혼과 한 부모 양육은 쉽게 용납한다고 비판합니다. 부모와의 이별과 같은 어린 시절의 분리된 경험들이 어린이들에게 해롭다는 것을 좌파와 우파 모두 분명히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가족을 돕는 데 있어서 서로 얽혀 있는 요소들, 경제 같은 구조적 힘이나 법적인 결혼 여부와 같은 개인적 선택에 대해 의견이 다릅니다.

휘트먼 칼리지(Whitman College)의 사회학자이자 현대가족협의회(Council on Contemporary Families)의 수석 학자인 미셸 제닝Michelle Janning은 “이로운 가족 구조에만 집중함으로써 그것을 어렵게 만드는 구조적 장벽을 얼버무리곤 한다. 정치인들은 ‘모든 가족을 부양하라’는 말 대신 ‘특정 가족을 부양하라’는 말을 통해 가족 개념 안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무시하고 있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예능 프로인 ‘유퀴즈 온더블럭’을 좋아하는데요. 하루는 어떤 아이를 인터뷰하더군요. 그런데 아이는 무슨 질문을 해도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로 답을 하는데 진행자 두 명 모두 아랑곳 않고 계속 ‘엄마’에 대해 물어보더군요. 저는 혹시라도 아이는 당연히 엄마가 기른다고 가정하고 그 아이가 대답하기 어려운 부분을 묻는 듯하여 그 인터뷰가 상당히 불편했습니다. 진행자 혹은 프로그램 제작자 역시 4인 가족을 기준으로 ‘아이는 엄마가 기른다’고 가정한 것은 아닐까요? 가족 정책 수립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하고, 결혼, 돌봄, 교육 등 안에 담겨 있는 구체적인 정책 요소들에 있어서 다양성과 포용성을 고려하였으면 합니다.

공유하기